캘린더와 미리알림 차이

align-G 2024. 9. 18. 11:18

 

캘린더와 미리알림 차이 및 활용 방법

캘린더와 미리알림(Reminder-리마인더)는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,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며 서로 다른 목적에 맞게 사용됩니다. 

 

미리알림은 리스트의 생성과, 이벤트의 완성이 중심이 됩니다. 

캘린더는 이벤트가 일어나는 시간이 중심이됩니다. 

 

 

### 캘린더 (Calendar):
- 주요 기능: 특정 시간에 발생하는 이벤트를 기록하고 관리합니다.
 - 예시: 회의, 약속, 수업 등 정해진 시간에 이루어져야 하는 활동.
 - 모든 항목은 시작 시간과 끝 시간이 있어야 하며, 시간에 맞춰 스케줄링됩니다. 시간의 입력이 없다면 이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. 
 - 일정이 겹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어, 하루나 한 주 동안의 큰 그림을 보기에 유리합니다.
 - 사용 시기: 누군가와 만나거나, 특정한 시간에 반드시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할 때 사용. 예를 들어, 회의나 점심 약속처럼 시간을 맞춰야 하는 상황에 적합합니다.

### 미리알림 (리마인더-Reminders):
- 주요 기능: 할 일-작업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앱.
 - 예시: 장보기, 은행 가기, 아이디어 목록 등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작업을 관리합니다
 - 시간 설정 없이 할 일을 추가할 수 있으며, 일반적인 할 일 목록, 쇼핑 목록, 아이디어 목록 등을 관리하기에 적합합니다.
 - 위치 기반 알림: 특정 위치에 도착했을 때 알림을 받을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'차에 타면' 또는 '레스토랑에 도착하면' 알림이 발생하도록 설정할 수 있습니다.
 - 유연한 관리: 특정 시간이 지나도 여전히 할 일을 볼 수 있어, 미완료된 작업을 쉽게 확인하고 나중에 완료할 수 있습니다.
 -  시간이 덜 중요하거나, 유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을 기록할 때 유용합니다. 예를 들어, 은행에 가야 하는 일은 특정 시간에 꼭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리마인더에 추가하는 것이 적합합니다.


### 차이점 정리:
1. 시간에 대한 접근 방식:
 - 캘린더는 모든 이벤트가 시간에 맞춰 설정됩니다. 시작 시간과 끝 시간이 필수적입니다.
 - 미리알림은 시간이 없어도 되는 작업을 기록할 수 있으며, 특정 시간을 넘겨도 확인이 가능합니다.

2. 위치 기반 알림:
 - 캘린더는 시간에 맞춰 이벤트가 발생하지만, 미리알림은 위치 기반으로 알림을 설정할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특정 장소에 도착했을 때 작업을 완료하도록 알림을 받을 수 있습니다.

3. 시간 블로킹:
 - 캘린더는 이벤트가 겹치지 않도록 시간을 블로킹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반면, 미리알림 시간 겹침에 대한 관리는 없고, 할 일이 목록으로 정리되어 나열됩니다.

4. 할 일 vs. 이벤트:
 - 할 일 (미리알림): 유동적으로 처리할 수 있는 작업을 기록. 시간이 엄격하지 않은 활동.
 - 이벤트 (캘린더): 정해진 시간에 반드시 발생해야 하는 활동을 기록. 예를 들어, 회의는 다른 시간에 맞추기 어려운 중요한 이벤트입니다.

### 활용 방법:
- 캘린더는 하루, 일주일 또는 한 달 동안의 큰 그림을 관리하고, 중요한 이벤트나 약속을 기록하는 데 사용합니다.
- 미리알림 작은 작업이나 시간에 덜 구애받는 활동을 목록으로 만들어 관리할 때 적합합니다.
- 동시 활용: 예를 들어, 휴가를 계획할 때는 캘린더에 전체 휴가 기간을 기록하여 일정이 겹치지 않도록 하고, 리마인더에 비행 정보나 공항으로 출발할 시간을 기록해 더 구체적인 작업을 관리할 수 있습니다.

미리알림은 리마인더라는 이름처럼 꼭 ToDo가 아니더라도 기억하고 싶은 리스트를 만들어 두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습니다. 

버킷리스트 , 읽고 싶은책, 보고 싶은 영화, 보고 있는 드라마, 잉여로울 때 하고 싶은 일등, 아이디어 .. 단순히 리스트업.. 목록화 해두고 

끌림이 있을 때 사부작사부작 찾아가서 아 이게 있었지 하면서 리마인드하고 다룰 수 있도록 하기도 합니다. 

 

반응형